그냥 내가 저번에 고생해서 세팅 다 했다가
갑자기 내부 ip 주소가 바뀌는 바람에 뭐가 잘못된지 모르고 처음부터 세팅을 다시 하는 과정에서
저번에 했을때 미리 기록해둘걸 ,,, 하는 뼈져린 후회 후에 적는 글이다.
나의 환경
노트북 ( M1 칩)
마인크래프트 자바 에디션
노트북 wifi 연결
서버 생성
나는 fabric 서버를 열었고 그냥 이분이 시키신 대로 따라했다.
https://emflant.tistory.com/333
M1 맥북에서 마인크래프트 패브릭(fabric) 서버로 멀티플레이 하기
마인크래프트를 여러사람과 즐기려면 접속할 수 있는 서버가 필요하다. 접속할 수 있는 서버를 만드는 방법은 2가지인데, 본인이 싱글플레이를 하면서 open to lan 메뉴를 이용하여 본인 컴퓨터가
emflant.tistory.com
그러나 이렇게 해서 서버를 연다고 해서 사람들이 내 서버에 들어올 수 없다.
나도 여기서 고생을 해서 댓글도 남겼었으나
스스로 해결했다 ㅋㅋ
포트 열기
내가 연 서버에 들어오게 하기 위해서는 포트 포워딩이 필요하다.
포트포워딩 방법은 각자의 공유기 제조사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각자 찾길 바란다.
그러나 포트 포워딩에 입력해야 하는 정보는 모두 동일하다.
일단 자바 에디션 기준 포트는 25565를 적어준다.
포트 쓰는 칸이 두개 있더라도 똑같이 적어준다.
그리고 내부 ip 주소는
시스템 환경설정 > 네트워크 > wifi 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거기 나와있는 나의 내부 Ip 주소를 포트 포워딩의 ip 주소 적는 란에 넣는다.
그러면 이제 포트 포워딩이 잘 되었는지를 확인해야 하는데
확인은 이 사이트에서 하면 된다.
https://www.yougetsignal.com/tools/open-ports/
Open Port Check Tool - Test Port Forwarding on Your Router
www.yougetsignal.com
여기서 내가 체크해야 할 ip는 내 공인 Ip 주소이다.
공인 ip 주소는 네이버에 내 ip 치면 알 수 있다.
내 ip 기입하고 포트는 25565 넣어서 체크하면 된다.
이렇게 초록 깃발이 뜬다면 포트가 잘 열린것 이다.
그럼 이제
내 공공 ip 주소 ( 네이버에 검색했을 때 나오는거)
를 친구에게 주고 접속시키면 된다.
끝!
----
그런대 신기한게 내부 Ip주소가 바뀌나보다.
나도 그래서 이 과정을 다시 하게 되었고, 이참에 정리하게 되었다.
내부 Ip 주소는 공유기가 사용하는 사설 ip주소라서그런가 ??
전공을 해도 이런건 아직도 모르겟다 ..